본문 바로가기

뉴스룸

빅데이터·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국제콘퍼런스 'RECOMB-Microbiome 2025' 연세대에서 개최 2025.04.15


빅데이터·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국제콘퍼런스 'RECOMB-Microbiome 2025' 연세대에서 개최

-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미래를 선도하는 글로벌 석학들, 4월말 연세대에 모여 -

- 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최신 연구 성과 및 국제 협력 논의 예정 -


오는 2025년 4월 24일부터 25일까지 이틀간, 세계 최초로 생명정보학 분야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을 주제로 한 국제학술회의 RECOMB–Microbiome 2025가 연세대학교 신촌캠퍼스 백주년기념관 및 백양누리 일대에서 열린다.


이번 학술대회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대에 첨단 바이오 연구를 선도하는 컴퓨터생물학 분야 최고 권위의 세계학회인 Research in Computational Molecular Biology (RECOMB)의 주제별 콘퍼런스로, AI 기반 마이크로바이옴 빅데이터 연구에 특화된 세계 최초의 국제학술회의라는 점에서 학문적 의미와 독창성이 크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간을 비롯한 다양한 환경의 미생물군집(microbiota)과 그 유전정보, 대사물질, 환경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최근 건강과 질병, 생태계 등에 미치는 영향이 주목받으며 난치성 질환과 암 등 각종 질병의 이해, 예방, 진단, 치료 및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RECOMB–Microbiome 2025 Seoul에는 전 세계 20여 개국에서 모인 약 300여 명의 과학자들이 참석할 예정이며, 전산생물학, 생물정보학, 통계학, 생태학, 유전체학, 단백체학, 대사체학 등을 아우르는 마이크로바이옴 최신 연구 성과와 기술을 공유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는 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학술회의의 초대 공동 의장은 연세대 시스템생물학과 김지현 교수(연세 이윤재 펠로우 겸 마이크로바이옴연구원 원장)와 유럽분자생물학연구소(EMBL) 소장인 피어 보크(Peer Bork) 교수가 맡았다. 또한 운영위원회에는 스탠퍼드대 의과대학의 아미 바트(Ami Bhatt) 교수가 참여하고 있다.


4월 24일 오전에는 연세대 이원용 연구부총장의 환영사와 함께, 한국미생물학회 석영재 회장,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남수완 회장 등의 축사로 학회가 시작될 예정이다. 국내 주요 발표자로는 이화여대 김봉수 교수, 경희대 배진우 교수, 서울대 백민경 교수, 한림대 석기태 교수, 연세대 이인석 교수, 중앙대 전체옥 교수가 하이라이트 연사로 나선다.


키노트 연사로는 미국 에너지부 로렌스버클리국립연구소 및 공동유전체연구소의 니코스 키피디스(Nikos Kyrpides) 박사, 하버드대 보건대학원의 커티스 후텐하우어(Curtis Huttenhower) 교수, 그리고 네덜란드 흐로닝언대의 징위안 푸(Jingyuan Fu) 교수가 확정돼, 마이크로바이옴 분야의 최신 연구 동향과 통찰을 공유할 예정이다.


조직위원회는 경상국립대 권순경 교수와 연세대 이동우 교수가 사무총장을 맡았으며, 연세대 김민식 교수, 한국과학기술원(KAIST) 윤석환 교수, 광주과학기술원(GIST) 이선재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KRIBB) 전종범 박사, 충남대 허지원 교수 등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전문가들이 위원으로 참여해 학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지원하고 있다.


김지현 원장은 “마이크로바이옴 연구는 빅데이터 확보뿐 아니라 이를 정교하게 해석할 수 있는 초대용량 데이터 통합 분석, 그리고 AI 기반 기술을 활용한 고도화된 계산 알고리즘의 발전이 핵심 동력이 되고 있다.”며, “이번 콘퍼런스는 국내외 연구자들이 학제 간 융합을 통해 통섭과 시너지를 촉발하고,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의 미래를 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연세대는 아시아 최고 사립대로서 2008년 생명시스템대학을 설립하고, 2011년 생물학과를 시스템생물학과로 개칭했으며, 2022년 인공지능융합대학을 신설했다. 또한 세계에서 다섯 번째로 IBM 양자컴퓨터 ‘퀀텀 시스템 원’을 도입했다. 이번 학회는 연세대에서 매년 개최되는 엠바이옴 컨퍼런스(mBiome Conference)의 일환이기도 하다.


한편, RECOMB-Microbiome 2025 Seoul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등록 방법은 학회 공식 웹사이트(https://recomb.org/recomb2025/recombmicrobiome.html)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처]

RECOMB–Microbiome 2025 조직위원회

▪ 운영위원 김민식 교수(연세대학교)

T. 02-2123-3119 / E. m.kim@yonsei.ac.kr

▪ 홍보위원 전종범 박사(한국생명공학연구원)

T. 042-879-8503 / E. jongbumj@kribb.re.kr


붙임 1. 학술대회 로고 이미지 2장.
2. 학술대회 포스터 1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