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뉴스룸

[2025. 2. 18.] 디지털 세대 아이들, 자연과 멀어진 거리… 디자인으로 잇는다 2025.02.18


디지털 세대 아이들, 자연과 멀어진 거리… 디자인으로 잇는다

- 연세대 백준상 교수팀, 디자인을 통한 아동-자연 상호작용 증진 제안 -


연세대학교 SSK 사업단(단장 김현경) 소속 백준상 교수 연구팀이 도시에서 자라는 알파세대 아이들의 자연 연결감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디자인을 통한 아동-자연 상호작용 증진 전략’을 제안했다.


우리 사회가 점차 도시화되고 디지털화되면서, 아이들이 자연을 직접 경험할 기회가 줄어들고 있다. 이러한 자연 경험의 부족은 아이들이 자연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 문제를 보다 깊이 이해하기 위해, 연구팀은 한국의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47명과 부모 15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아이들의 자연 경험과 감정, 자연에 대한 관점뿐만 아니라, 부모가 자녀에게 자연 경험을 제공한 과정과 인식을 종합적으로 조사했다.


조사 결과, 도시 아이들은 자연과의 심리적 거리감을 느끼고 있었으며, 부모와 아이들 사이에는 자연 경험에 대한 인식 차이가 존재했다. 또한, 아이들은 자연과의 직접적인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가상 및 간접적인 경험에서도 부정적인 감정과 생각을 표현했다. 아이들이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은 전반적으로 인간 중심적이었고, 때때로 생태적으로 부정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팀은 디자인을 활용해 아이들의 자연 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세 가지 전략을 제안했다. 우선, 직접적, 가상적, 간접적 자연 경험의 통합을 제안했다. 직접 자연을 접할 기회가 부족한 도시 아이들에게 가상적 경험과 간접적 경험을 더해 자연 접근성을 높이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자연 다큐멘터리를 시청하거나 가상현실(VR) 기술을 통해 숲이나 바다를 체험하면, 실제 자연과의 접촉이 제한적인 상황에서도 자연에 대한 친밀감을 키울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이 자연과의 단절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오히려 자연 경험을 보완하고 확대하는 새로운 통로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이와 함께, 놀이 중심 디자인을 통한 긍정적인 자연-인간 상호작용 유도가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정형화된 교육보다는 자유롭게 뛰놀고 스스로 탐색하는 과정에서 자연과 친숙해질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놀이 중심의 접근은 자연을 불편하거나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흥미롭고 즐거운 공간으로 받아들이게 만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이 자연에 대한 보다 균형 잡힌 시각을 갖도록 돕기 위해 미래 지향적 디자인 접근도 제시됐다. 연구팀은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을 활용해 환경 문제에 대한 비판적 사고를 장려하고 생태 중심적 관점을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페큘레이티브 디자인은 미래 시나리오를 상상하고 새로운 기술과 사회·생태적 문제 간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과정을 통해 아이들이 열린 마음을 갖고 반성적이며 균형 잡힌 사고를 발전시킬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정에서 아이들은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는 능력을 기르고,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이해하며, 정보가 넘쳐나는 현대 사회에서 가치와 사실을 구별하는 태도를 함양하게 된다.


이번 연구에 대해 백준상 연세대 교수는 “현재의 생태적 위기의 근본 원인인 잘못된 인간-자연 관계를 바로잡기 위해 미래 세대와 자연 간의 관계를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디자인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백준상 교수 연구팀은 디자인을 통해 사회·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오고 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태학 분야 국제학술지 ‘People and Nature’에 2월 18일 자로 게재됐다.



붙임 논문 관련 사진 1장. 끝.


(사진 설명)

도심 속에서 (좌)스마트폰 사용에 몰입한 어린이와 (우)스마트폰을 이용해 자연 요소를 관찰하는 어린이


(논문 정보)

1. 논문제목: A Enhancing child-nature interactions through design: An empirical study of the emotions,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of nature among South Korea’s urban Generation Alpha children

2. 논문주소: https://besjournals.onlinelibrary.wiley.com/doi/full/10.1002/pan3.70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