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1. 23.] 연세대 박현우 교수팀, 만성 염증과 종양 치료의 새로운 길 열다: 대식세포 TAZ 타겟 규명 2025.01.23
-
신촌 홍보팀 첨부파일( 3 ) 1. 연구진 사진.jpg 2. 논문 이미지.jpg (20250123) 연세대 박현우 교수팀, 만성 염증과 종양 치료의 새로운 길 열다! 대식세포 TAZ 타겟 규명.hwp CLOSE TOOLTIP
연세대 박현우 교수팀, 만성 염증과 종양 치료의 새로운 길 열다: 대식세포 TAZ 타겟 규명
- 암/면역 미세환경 제어 신규 약물타겟 규명 -
- 골지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조절… 난치성 질환 치료 돌파구 제시 -
연세대학교(총장 윤동섭) 생화학과 박현우 교수 연구팀이 대식세포에서 만성 염증과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새로운 분자기전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는 대식세포 내에서 TAZ 단백질이 기존 Hippo 신호 경로와는 독립적으로 작용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조절하며, 만성 염증성 질환 및 암 등 난치성 질환 치료의 새로운 표적이 될 가능성을 제시했다.
연구는 연세대학교, 포항공과대학교(POSTECH), 중국 Westlake University와 국제 협력해 진행됐으며, 세계적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 1월 22일 게재됐다.
기존 연구들은 YAP/TAZ 단백질이 Hippo 신호 경로를 통해 주로 핵 내에서 작용하며 세포 성장, 분화, 생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 해왔다. 이러한 기전은 주로 비혈액세포계와 고형암에서 활발히 연구됐지만, 면역세포와 같은 부유세포에서는 YAP/TAZ의 발현이 낮아 그 역할에 관한 연구가 미비했다.
박현우 교수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염증 질환에서 TAZ가 Hippo 신호 경로와 독립적으로 작용하며, 핵이 아닌 골지(Golgi)에 위치해 염증 반응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규명했다. 대식세포 내에서 TLR(톨 유사 수용체) 자극으로 TAZ가 골지에 축적되면,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MCP-1 등)의 분비를 유도해 만성 염증을 지속시키고 면역세포 유입을 촉진한다. 반면, TAZ를 결핍시킨 대식세포에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가 감소하고 염증이 해소되며, 염증성 질환의 진행이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또한, 연구팀은 종양 미세환경에서 TAZ가 면역 세포의 종양 침투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발견했다. 종양 연관 대식세포(TAM) 내 TAZ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통해 면역세포의 종양 침투를 촉진하고,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 효과를 나타냈다. 반대로 TAZ가 결핍된 대식세포를 종양과 함께 주입한 경우, 면역세포 유입이 감소하면서 종양 성장이 촉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TAZ가 종양 미세환경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통해 면역 세포들이 종양을 공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매개자로 기능함을 보여준다.
이번 연구는 대식세포 내 TAZ가 기존 Hippo 신호 경로와는 독립적으로 골지에서 작용한다는 점을 규명했다. 특히, 현재 임상시험 중인 YAP/TAZ-TEAD 억제제가 대식세포에는 효과가 없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새로운 치료 전략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연세대 박현우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만성 염증과 종양 악성화를 제어할 새로운 치료 표적을 제시했으며, 특히 대식세포 내 TAZ를 제어함으로써 만성 염증성 질환과 암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이어 “앞으로 이 기전을 바탕으로 대식세포 내 TAZ 억제제를 개발해, 만성 염증성 질환과 종양 치료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연구재단이 추진하는 과학난제도전 융합연구개발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연세대 박소연 박사(제1저자)가 주도했다.
붙임 1. 연구진 사진 1장.
2. 논문 이미지 1장.
(사진 설명)
1. (왼쪽부터) 연세대 박현우 교수(교신저자), 박소연 박사(제1저자)
2. 대식세포에서 TAZ의 발현 기전과 골지에서의 사이토카인 조절 기능
(논문 정보)
논문 제목: Noncanocial role of Golgi-associated macrophage TAZ in chronic inflammation and tumorigenesis.
논문 주소: https://www.science.org/doi/10.1126/sciadv.adq23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