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기사]
신입생 때 남달랐던 한강, 3·4학년 과목 '시창작론' 수강
“언제나 글을 쓰기 위해 존재하는 것 같았다. 자신이 말해야 하는 것을 소리 높여 주장하지 않고, 오로지 내면의 깊이를 통해서만 은은하게 표현하는 기막힌 절제력을 가졌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세상의 뭇 생명들을 사랑으로 바라보는 시선과 그것을 가장 자신에게 알..
중앙일보 2024.10.21 -
[주요기사]
처연하고 아름다운 문장… 소설보다 詩가 먼저였다[한강의 시간]
No. <3> 슬픔 직시하는 한강의 詩 문단 데뷔 전 ‘편지’로 윤동주문학상 ‘이상의 회화와 문학세계’ 석사 논문 2013년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 문지 시인선 438호로 유일한 시집 “침묵에 더 가까운 인간의 깊은 고통 소설에서 시적인 언어 활용 밑바탕어느 늦..
서울신문 2024.10.21 -
[교육뉴스]
“수업 중 컴퓨터 쓸 수 있게 하니 수업시간 40% 딴짓”
"학생들에게 수업 중 컴퓨터를 쓸 수 있도록 허용했더니 수업 시간의 최대 40%까지 딴짓을 하더라.” 스웨덴 왕립 카롤린스카 의대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등 다양한 기관의 통계와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해 내놓은 ‘전국 학교 디지털화 전략 의견서’에 나오는 내..
동아일보 2024.10.21 -
[교육뉴스]
"상위권대 갈 유일한 길" 수시생 44% 논술 몰려
전국 42개 대학에서 수시모집 지원자 10명 중 4명은 논술전형에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내신 성적이 좋지 않고 정시모집에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점수로 합격하기 어려운 학생들이 수시 논술전형에 집중 지원한 것으로 풀이된다. 20일 종로학원이 2025학년도..
매일경제 2024.10.21 -
[교육뉴스]
박상규 대교협 회장 “위기냐 기회냐 갈림길에 선 고등교육, 대학의 자율성과 재정 안정성에 미래 달려”
학령인구 감소로 대학 정원이 줄고 십수년간 이어진 대학 등록금 동결 기조로 재정난을 겪는 대학이 늘면서 대한민국 교육 경쟁력이 뒷걸음질 치고 있다. 전국 4년제 197개 대학을 회원으로 두고 있는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도 대학 위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
한국대학신문 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