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뉴스]
1년 과정의 ‘마이크로 학위’로 반도체 인력 양성하자
필자가 지난해 봄 KAIST 총장에 취임하고 약 한 달이 지난 때였다. 삼성전자가 계약학과를 만들어 반도체 인력을 양성해주기를 원한다는 요청이 들어왔다. 나는 큰 틀에서 먼저 합의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과거에도 몇 차례 실무협의를 하다가 깨진 경험이 있기 때문이..
중앙일보 2022.06.27 -
[칼럼]
우크라이나 전쟁과 고개 드는 냉소주의-문정인 전 연세대 교수
“우크라이나의 자유를 위한 유럽의 형제애를 믿어도 됩니다.” 최근 우크라이나를 방문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말이다. 이는 우크라이나에 대한 전폭적 지원을 앞다투어 약속하는 서방 지도자들의 발언과 맥을 같이한다. 러시아의 침공에 대한 국제사회의 ..
한겨레 2022.06.27 -
[교육뉴스]
반도체학과 확대? 현장 얘기는 다르다
윤석열 정부가 국정 과제로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대학의 반도체학과를 증원하겠다고 발표한 정책은 여러모로 되짚어봐야 한다. 무엇보다 현장의 목소리와 거리가 있다는 점이 문제다. 우리가 뒤처진 비메모리반도체 분야 기술 격차를 줄이려면 당장 필요한 것이 양..
한국일보 2022.06.27 -
[교육뉴스]
"폐쇄적인 한국, 살기 힘들다"…국내박사 딴 외국인 60% 해외로
국내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한 일본인 A씨는 10년 넘게 한국에 머무르고 있다. 한국에서 소규모 디자인 회사를 열었지만 한국어를 유창하게 구사함에도 일감이 들어오지 않아 벽에 부딪힌 느낌을 받았다. 처음에는 국내 기업에 취업하려고 했지만 내국인조차 취업을 하..
매일경제 2022.06.27 -
[교육뉴스]
"규제 폐지 1순위는 교육부의 대학 평가"…133개大 총장 대교협 세미나
전국 대학 총장들이 가장 시급하게 혁파해야 할 규제로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대학평가)’를 꼽았다. 대학평가는 3년마다 교육부가 대학을 평가해 기준을 통과한 대학에만 일반재정지원 예산을 배정하는 제도로 ‘교육판 배급제’라는 비판을 받아왔다. 수도권 반도체..
한국경제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