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AI 활용한 군집지성 토론, 다수결 민주주의 한계 넘는다-이준기 정보대학원 교수
계엄령의 후유증으로 한국 사회의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물론 민주주의에 대한 기본적 소양이 부족한 대통령의 오판이 가장 큰 원인이다. 하지만 야당의 독주와 공적 마인드 없이 상대방을 적대시하는 정치인과 공직자들, 그리고 협업과 배려보다는 서열을 중요시하는 ..
중앙일보 2024.12.23 -
[칼럼]
[조하현 연세대교수 칼럼] 한국 증시 저평가와 밸류업 정책 방향
금융위원회는 지난 2일 ‘자본시장법 개정 방향’을 발표했다. 야당이 상법 개정을 추진하고 있는 와중에 여당이 자본시장법으로 일종의 절충안을 내놓은 것이다. 자본시장법 개정은 주주 이익을 보호하려는 이사회의 충실 의무를 부과하되, 상법 개정과는 달리 그 적용..
주간한국 2024.12.23 -
[인물동정]
"동물을 사랑하고 먹고 죽이고···인간의 모순된 행동을 연구하고 싶었어요"-최명애 문화인류학과 교수
동물 연구라고 하면 수의학이나 생태학을 떠올리게 된다. 최근에는 동물과 직접적으로 관계없을 것 같아 보이지만 인간과 비인간동물 간 관계를 활발하게 연구하는 분야가 있다. 바로 인류학이다. 최명애(48)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는 인간과 인간이 아닌 존재 간 상..
한국일보 2024.12.23 -
[인물동정]
왕하영 연세대 국제학부 교수 "체스 챔피언십에서 대한민국 대표하는 실력 보여주겠다"
"우리나라를 대표할 수 있는 기회로 초청받아 감사한 마음이 큽니다. 최고의 한국 재능을 대표해야 하는 신성한 의무를 다하고 오겠습니다." 왕하영 연세대학교 국제학부 한국사 교수는 오는 26일부터 5일간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2024 FIDE 월드 래피드 앤 블리츠 챔..
중부일보 2024.12.23 -
[칼럼]
AI, 반도체 그리고 양자컴퓨터-이경배 겸임교수
기술의 혁신적 발전은 예상을 뛰어 넘는다. 사람과 대화하는 인공지능(AI)이 등장해 사람의 지식 수준을 뛰어넘는 인공일반지능(AGI)으로 발전하고, 기존 처리 속도 수십 배에 이르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탑재한 컴퓨터가 양산되며, 슈퍼컴퓨터로도 수억만 년 이상 ..
전자신문 202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