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기사]
아벨라시맙, 출혈 고위험 환자 위한 新항응고제로 기대감↑-세브란스 심장혈관병원 정보영 교수팀
출혈 위험이 높아 직접 작용 경구용 항응고제(DOAC) 치료가 어려운 환자를 위한 차세대 항응고제 등장에 관심이 모인다. 주목받는 치료제는 미국 안토스 테라퓨틱스가 개발한 제11혈액응고인자(factor XI, FXI) 억제제 아벨라시맙이다. 아벨라시맙은 혈액응고에 관여하..
메디칼업저버 2025.02.10 -
[인물동정]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제23대 김장영 학장 취임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의 제23대 학장으로 김장영 교수가 취임했다. 임기는 올해 2월 1일부터 2027년 1월 31일까지 2년이다. 김장영 학장은 1968년생으로,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학사 졸업 및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에서 석·박사 졸업 후 2002년부터 심장내과 전문의..
헬스인뉴스 2025.02.10 -
[칼럼]
[안철우 교수의 호르몬 백과사전] 현대인의 멜라토닌 분비량, 괜찮을까?
멜라토닌을 생명체 최초의 호르몬, 고대 호르몬(ancient hormone)이라고 표현한다. 그 이유는 멜라토닌을 생성하는 주요 세포기관이 미토콘드리아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알고 있는 호르몬으로서의 멜라토닌은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지만, 사실 체내 모든 세포가 멜라토..
파이낸셜뉴스 2025.02.10 -
[칼럼]
성장 동력의 핵심은 인재다-양준모 경제학과 교수
경제성장률이 매년 추락하고 있다. 성장률이 떨어지는 이유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랫동안 저출산으로 인구증가율이 떨어졌고, 노동 시간 규제와 일하면 손해라고 느끼는 분위기로 노동 투입 시간도 줄었다. 근로자들이 농업에서 제조업으로 이동하던 시..
서울경제 2025.02.10 -
[칼럼]
딥시크가 불 지폈다, 누구나 쉽게 만들고 공유하는 AI 혁명-이준기 정보대학원 교수
새해 들어 인공지능(AI)에 대한 전세계의 관심이 뜨겁다. 인공지능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초기에는 단순한 호기심에서 출발했다. 예를 들어 기계가 인간보다 더 잘할 수 있을 것인가, 특정 분야에서만 활용될 것인가, 아니면 범용 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인가 등의 질문..
중앙일보 20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