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도시공간 품질향상을 위한 이런 제도는 어떨까요?-이제선 연세대 도시공학부 교수
우리나라는 국민소득 3만 달러 시대를 넘긴 2019년부터 다른 선진국처럼 도시공간에 대한 양적 공급보단 질적 향상을 더욱 중요하게 여기기 시작하였고, 민간에서는 디자인적으로 특화된 아파트를 설계하고 브랜드화하여 수요자들의 품질향상 요구에 적극적으로 대응하..
이투데이 2022.05.09 -
[칼럼]
관조적 삶-정희모 연세대 교수·국문학
아리스토텔레스는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좋은 사회는 세 가지 삶이 있다고 말했다. 하나는 ‘지식과 생산의 삶’이고, 다른 하나는 여유가 있고 ‘즐기는 삶’이며, 마지막은 ‘관조적 삶’이다. 이런 삶을 추구하는 인간의 궁극적 목표는 바로 행복이다. 이런 세 ..
세계일보 2022.05.09 -
[교육뉴스]
대만, 학과 정원 10% 늘려…中은 단과大 개설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마저 최근 반도체 기술 인력난에 몸살을 앓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대만을 비롯해 한국, 미국, 중국 간 반도체 인력 유치 경쟁이 심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5일 반도체업계에 따르면 대만 정부는 최근 외국인..
한국경제 2022.05.09 -
[칼럼]
권력의 대기실과 집단사고의 위험-김종대 연세대 통일연구원 객원교수
김용현 경호처장 내정자는 윤 당선자의 고등학교 1년 선배이고, 대선 때 안보 공약을 총괄했으니 “나야말로 복심”이라며 지지 않을 거다. 그러자 김태효 안보실 1차장 내정자. 윤 당선자와 같은 아파트에서 살며 목욕탕에서 만난 자신이야말로 대선을 막후에서 지원한..
한겨레 2022.05.09 -
[칼럼]
국민은 문재인 정부를 믿고 협력하고 싶었다-김형석 객원논설위원·연세대 명예교수
지난 1세기 동안에 우리는 세계의 관심을 유도할 만큼 발전을 거듭해 왔다. 그 업적은 정치계보다는 국민의 성장과 노력의 결과였다. 3·1운동부터 사반세기 동안은 교육의 열정과 민족의식의 성장이 광복과 더불어 독립국가의 건립을 성사시켰다. 6·25 전란 이후에는 자..
동아일보 2022.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