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칼럼]
‘이상한 우영우’에겐 진짜 장애가 있는 걸까?-김준혁 연세대 교수·의료윤리학자
태어나서 읽은 책을 모두 기억하고 대학교에서 단 한 번도 일등을 놓친 적이 없지만, 건물 회전문은 통과하지 못하는 변호사 우영우.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어 다른 사람과 원활한 소통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 그는 사건에서 다른 사람들이 보지 못하는 부분..
한겨레 2022.07.25 -
[인물동정]
코로나 장기화 그늘...마스크 벗기 두려운 청소년들-신의진 연세대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제가 마스크를 썼습니다. 요즘 청소년들이 마스크 벗는 것을 거부한다고 합니다. '마기꾼', '마해자'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한 걸 보면 마스크에 대한 심리를 엿볼 수 있습니다. 마기꾼은 마스크 사기꾼, 마해자는 마스크 피해자를 줄인 말입니다. 이렇게 마스크를 쓰고 ..
YTN 2022.07.25 -
[주요기사]
세계 최초 방사성 오염수서 요오드만 콕 집어낸다-연세대 화학공학과 한병찬 교수 연구팀
인체에 유해함에도 불구하고 원전 오염수에서 완전하게 제거하기는 불가능한 방사성 요오드를 원전 오염수가 포함된 바닷물이나 지하수에서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화제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방사화학연구실 배상은 박사 연구팀이 연세대 화학공학..
서울경제 2022.07.25 -
[인물동정]
국문학·국어교육 업적 ‘난정학술상’ 수상자에 유현경 연세대 교수
국어국문학 분야에서 훌륭한 연구 업적을 세운 학자에게 수여하는 난정 학술상 수상자로 유현경 연세대 교수가 선정됐다. 유 교수는 조사·어미의 기능 차이에 주목해 기존 문법 범주 중심의 통사론 기술의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한국어문회(이사장 남기..
한국대학신문 2022.07.25 -
[칼럼]
해묵은 ‘경찰국가’의 소환-이종수 연세대 로스쿨 교수
최근 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가 논란이다. 행정안전부 내에 경찰국을 신설해 경찰에 대한 주무 부처 장관의 지휘감독을 강화하겠다는데, 다소 뜬금이 없다. 필자가 몸담고 있는 공법, 즉 헌법과 행정법 분야에서 ‘경찰국가’라는 개념이 자주 다뤄진다. 별다른 통제 ..
서울신문 2022.0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