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슨관(Stimson Hall)과 본관(本館, Underwood Hall), 신학(神學館, Appenzeller Hall)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스팀슨관은 1920년 완성되었으며, 건평 131.75평, 연건
평 414.56평의 석조 2층 건물로서 연세 캠퍼스에 최초로 세워졌다.
미국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의 스팀슨씨(Charles M.Stimson)의 기부금으로 지은 것
으로, 대학본부로 사용하다가 현재는 대학원과 대외협력처에서 사용하고 있으며 1981년 9월 25일 문화재 사적 275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본관은 1924년에 본대학교의 전신 연희
전문학교의 창설자이며 초대 교장이었던 원두우(元杜尤) 박사를 기념하기 위하여 그의 형제인 죤 언더우드씨의 기부금으로 지은 것이다.
건평 209.74평, 연건평 876.38평인 이 4층의 석조 건물은 문과대학 전용으로 사용되어 오다가 지은 대학 본부 건물로 총장실, 기획실, 교무처, 총무처 및 재무처에서 사용하고 있
으며 문화재 사적 276호로 지정되어 있다. 미국 매사츄세츠 피츠월드의 제일감리교회에 의한 기부금으로 1924년에 준공된 신학관은 현재 신과대학 전용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건평 131.34평, 연건평 471.59평의 석조 3층 건물로 문화재 사적 277호로 지정되어있다.
윤동주는 민족의 수난기였던 1917년 독립운동의 거점 북간도 명동에 태어나 그곳에서 자랐고, 1938년 봄 연희동산을 찾아 1941년에 문과를 마쳤다.
그는 다시 일본으로 건너가 학업을 계속하여 항일독립운동을 펼치던 중 1945년 2월 16일 일본 후꾸오까 형무소에서 모진 형벌로 29세에 유명을 달리하였다.
그가 이 동산을 거닐며 지은 시들은 암흑기 민족문화의 마지막 등불로서 겨레의 가슴을 울렸으며, 그 영향은 지금까지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1968년 11월 3일 그를 따르고 아끼는 학생, 친지, 동문, 동학들이 정성을 모아 핀슨관 앞 작은 언덕에 그의 시 한수를 새겨 시비를 세웠다.
연세만이 자랑하는 자연의 성역으로 1932년 Dr.Miller 교수에 의하여 설계되어 1933년 5월 준공되었으며, 이 공사가 있기에는 교직원 및 학생 전원이 각각
하루씩 작업을 도왔다. 대강당이 세워지기 전까지 이곳이 연희의 정신을 길러주고 마음을 가꾸어 주던 곳으로 그 유서가 깊다.
이후 1957년 여름에 보수공사를 거쳐 보수되었으며, 현재의 노천극장은 동문들의 성금을 모아 1999년 5월 준공된 초현대식 건물로 성금을 낸 동문들의 이름을 대리석에
새겨놓고 있다.
간호대학 신축건물은 공간의 협소로 의료원종합관 등에 분산되어 있던 강의실을 한 곳으로 통합, 교육 및 연구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1994년 5월 기공하여 1996년 9월 준공하였다. 지하 1층, 지상 7층, 연건평 2,126평 규모로 지어진 이 건물은 강의실·실습실·세미나실·회의실·시청각실·교수연구실과 연구소·교학과·학장실·동창회실·학생복지시설 등을 갖추고 있어 완전히 독립된 간호교육의 터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치과대학 신축건물은 진료, 교육·연구공간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날로 발전하는 국내외 치의학 분야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1994년 5월 기공하여 1996년 5월 10일에 준공하였다. 건물의 규모는 지하 2층, 지상 4층, 연건평 2,068평으로 치과병원과 연계되어 있으며, 첨단 오디오·비디오시설을 갖춘 강의실, 최신 실습기자재를 갖춘 임상 전단계 실습실, 해부학실습실을 갖춘 기초학 실습실, 학생들의 후생복리와 자치활동을 지원하기 위한 학생회 사무실 등 각종 복지시설을 구비하고 있다.
의과대학 구관은 1957년 연희대학교와 세브란스의과대학의 합동이 이루어진 이후 미국 차이나 메디칼 보드의 원조를 받아 1959년 4월 착공하여 1962년 6월 준공을 하였다. 의과대학 본관은 건평 약 600평, 연건평 2,300여평의 4층 건물에 교수연구실·강의실·실습실·동물실험실·소강당 등 당시로서는 최신의 시설과 장비를 갖추었다. 이후 임상교수들의 연구의욕 고취를 위해 1987년 9월 1개층 627평을 증축하는 공사에 착수하여 1988년 7월에 완공함으로써 현재와 같은 5층 건물의 모습을 갖게 되었다.
의과대학의 규모가 점점 커지면서 연구와 강의·실습공간이 부족해지자, 의과대학은 차이나 메이칼 보드와 서로 반씩 재정하고, 1971년 5월 착공하여 1973년 3월 2층 규모의 신관을 건립하였다. 구관과 신관 사이에는 세 개의 강의실이 추가로 들어섰다. 이후 기초·임상연구의 발전과 원활한 학생교육을 위해 1988년 2003년 각각 2개 층씩을 증축함으로써 의과대학 신관은 현재의 6층 건물이 되었다.
의학도서관은 1971년 5월 기공하여 1973년 2월에 준공되었다. 신축당시 2층 규모였던 의학도서관은 1980년 2월 4층 건물로 증축한 데 이어, 1933년 1월 의과대학과의 사이에 590평 규모의 건물을 신축함으로써 연건평 1,290평, 총 열람석 650석의 현재와 같은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의학도서관은 열람실 뿐만 아니라 사진실·시청각교육실 등을 완비하여 보건대학원, 의과대학, 치과대학, 간호대학이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다.
1885년 미국인 선교사 겸 의사 호레이스 앨런이 고종의 도움으로 서울 재동에 세운 왕립 의료기관이다. 한국 최초의 서양식 의료기관이었던 광혜원은 개원
12일만에 통리교섭통상사무아문(統理交涉通商事務衙門: 지금의 외교통상부)의 계(啓)에 따라 이름을 제중원(濟衆院)으로 바뀌었는데, 미국 북장로교 선교부로
운영권이 넘어간 제중원의 부속 의학교 초대 교장 에비슨이 세브란스병원의 실질적 설립자다. 이후 1904년 9월 3일 서울 남대문 밖 복숭아골(지금의 도동)에
세브란스병원이 문을 열었다. 세브란스라는 이름은 병원 설립 자금 15,000달러를 기부한 미국 클리블랜드의 재력가 루이 세브란스에게서 따온 것이며 이 의료기관의 기원이 바로 광혜원이다. 세브란스병원과 거기 딸린 세브란스 의학교의 역사는 한국의 근대적 의료사의학사의 중추를 이룬다.
세브란스 의학교는 세브란스 연합 의학전문학교, 세브란스 의과대학을 거쳐 1957년 연희대학교와 함께 연세대학교로 통합되면서 연세대 의과대학이 되었고,
세브란스병원은 두 대학 통합 뒤인 1962년 신촌의 현재 자리로 이전해 연세의료원의 핵심이 되었다.
현재 연세대학교 캠퍼스 내의 광혜원은 최초 설립된 광혜원의 모습을 재현해놓은 것이다.